이진 접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진 접두어는 1998년 IEC 60027-2 표준에 의해 정의된, SI 접두어와 관련된 접두어 체계이다. 컴퓨터 데이터의 양을 나타낼 때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기존 SI 접두어 대신 키비(Ki, 210), 메비(Mi, 220), 기비(Gi, 230) 등을 사용한다. 2005년에는 제비(Zi, 270)와 요비(Yi, 280)가 추가되었으며, 십진법과의 차이로 인해 혼란이 발생하여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2023년 현재, 컴퓨터 메모리 용량 표시에 널리 사용되지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저장 장치에서는 SI 접두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998년, IEC(국제 전기 표준 회의)는 SI 접두어와 구별되는 새로운 2진 접두어를 승인했다. 210, 220, 230 등의 승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는 IEC 60027-2에서 각각 키비, 메비, 기비 등으로 정의되었으며, 1024 바이트는 1키비바이트, 1,048,576 바이트는 1메비바이트가 된다. 비슷한 규격이 IEEE에서도 IEEE 1541-2002로 성립되었다. IEC 60027의 2진 접두어 규정은 IEC 80000-13:2008에 통합되었다.
2. IEC 표준 접두어
2진 접두어의 어원은 비슷한 값의 SI 접두어의 앞부분에 2진을 나타내는 bi를 붙인 것으로, 기호는 SI 접두어의 기호에 i가 붙는다. 다만 키비는 k가 대문자가 되어 Ki가 된다.
2005년까지는 SI 접두어의 엑스비까지만 정해져 있었고, 제타(1021), 요타(1024)에 대응하는 2진 접두어는 없었다. 2005년 8월, IEC는 엑스비 이상의 접두어로 제비(zebi), 요비(yobi)를 정식으로 도입했다.
2. 1. 정의
1998년 IEC 60027-2로 정의된 표준으로, SI 접두어와 관련이 있다.
IEC 접두어 | 표현 | ||||
---|---|---|---|---|---|
이름 | 기호 | 밑 2 | 밑 1024 | 값 | 밑 10 |
키비 | Ki | 210 | 10241 | 1024 | = 1.024 × 103 |
메비 | Mi | 220 | 10242 | 1048576 | ≈ 1.049 × 106 |
기비 | Gi | 230 | 10243 | 1073741824 | ≈ 1.074 × 109 |
테비 | Ti | 240 | 10244 | 1099511627776 | ≈ 1.100 × 1012 |
페비 | Pi | 250 | 10245 | 1125899906842624 | ≈ 1.126 × 1015 |
엑스비 | Ei | 260 | 10246 | 1152921504606846976 | ≈ 1.153 × 1018 |
제비 | Zi | 270 | 10247 | 1180591620717411303424 | ≈ 1.181 × 1021 |
요비 | Yi | 280 | 10248 | 1208925819614629174706176 | ≈ 1.209 × 1024 |
2. 2. 로비와 퀘비
2022년에 국제도량형국(BIPM)은 10009에 대해 ronna를, 100010에 대해 quetta를 십진 접두어로 채택했다. 기존 이진 접두어와 유사하게, 국제도량형위원회의 단위 자문 위원회(CCU)의 자문 보고서는 이진 대응 접두어로 로비(Ri, 10249)와 퀘비(Qi, 102410)를 제안했지만, 2022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이진 접두어는 아직 채택되지 않았다.3. 역사
컴퓨터가 다루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비트, 바이트, 옥텟)에 붙는 접두사로 이진 접두어가 사용된다.
2진법 기반 시스템에서는 2의 거듭제곱이 자주 나타난다. 큰 양을 나타낼 때 SI 접두어 킬로(kilo, 1000)에 가까운 1024 (210)나 메가(mega, 1,000,000)에 가까운 1,048,576 (220)에 대해 킬로, 메가 등의 접두어를 데이터 크기 단위와 조합해 사용했다. (예: 1KB, 1MB) 이후 기가, 테라, 페타 등도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결정된 SI 접두어는 10의 정수 승을 나타내며,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관습은 SI 접두어와 혼동을 일으켰고, 기억 장치 용량을 나타낼 때 특히 문제가 되었다. 승수가 커질수록 SI 접두어와의 오차도 커져 테라(tera)에서는 약 10% 오차로 무시할 수 없게 되었다.
이름 | 기호 | 2진 접두어 승수 | SI 접두어 승수 |
---|---|---|---|
킬로 (kilo) | K | 210 = 1 024 | 103 = 1 000 |
메가 (mega) | M | 220 = 1 048 576 | 106 = 1 000 000 |
기가 (giga) | G | 230 = 1 073 741 824 | 109 = 1 000 000 000 |
테라 (tera) | T | 240 = 1 099 511 627 776 | 1012 = 1 000 000 000 000 |
페타 (peta) | P | 250 = 1 125 899 906 842 624 | 1015 = 1 000 000 000 000 000 |
엑사 (exa) | E | 260 = 1 152 921 504 606 846 976 | 1018 = 1 000 000 000 000 000 000 |
제타 (zetta) | Z | 270 = 1 180 591 620 717 411 303 424 | 1021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요타 (yotta) | Y | 280 = 1 208 925 819 614 629 174 706 176 | 1024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킬로의 기호는 SI 접두어 k와 구별하기 위해 K를 사용하기도 했으나, 나머지 기호는 SI 접두어와 같아 혼란이 있었다.[11]
이러한 혼란을 해결하고자 1998년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는 SI 접두어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진 접두어를 승인했다. 210, 220, 230 등을 나타내는 접두사로 키비(kibi), 메비(mebi), 기비(gibi) 등을 도입했다. (예: 1024바이트 = 1키비바이트, 1,048,576바이트 = 1메비바이트) IEEE에서도 비슷한 규격(IEEE 1541-2002)이 성립되었다. 그러나 새 이진 접두어는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10] 1999년 JEDEC은 기억 장치 용량에 한해 SI 접두어와 같은 명칭을 2의 거듭제곱에 사용하도록 정의했다.
2005년까지 엑스비(exbi, 엑사 대응)까지만 정의되었고 제타(1021), 요타(1024)에 대응하는 2진 접두어는 없었다. 2005년 8월, IEC는 제비(zebi), 요비(yobi)를 정식으로 도입했다.
이름 | 기호 | 승수 |
---|---|---|
키비 (kibi) | Ki | 210 = 1 024 |
메비 (mebi) | Mi | 220 = 1 048 576 |
기비 (gibi) | Gi | 230 = 1 073 741 824 |
테비 (tebi) | Ti | 240 = 1 099 511 627 776 |
페비 (pebi) | Pi | 250 = 1 125 899 906 842 624 |
엑스비 (exbi) | Ei | 260 = 1 152 921 504 606 846 976 |
제비 (zebi) | Zi | 270 = 1 180 591 620 717 411 303 424 |
요비 (yobi) | Yi | 280 = 1 208 925 819 614 629 174 706 176 |
국제 단위계 국제 문서 제8판은 SI 접두어가 10의 정수 승을 나타냄을 강조하고, 2의 거듭제곱 표현에 SI 접두어 사용을 금지했다.
현재 반도체 메모리 용량에는 이진 접두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SI 접두어가 주로 사용된다. 플로피 디스크는 혼용 표기가 쓰이기도 했다. 광 디스크는 CD는 이진 접두어, DVD, 블루레이 디스크는 SI 접두어를 쓴다. 통신 속도나 클럭 주파수에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3. 1. 초기 접두어
1795년 프랑스에서 채택된 초기 미터법은 더블(double, 2×)과 데미(demi, 1/2×)라는 두 개의 이진 접두어를 포함했다.[10] 1960년 제11차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SI 접두어가 국제적으로 채택되었을 때 이들은 유지되지 않았다.[10]3. 2. 기억 용량
컴퓨터의 기억 장치 용량을 표시할 때 이진 접두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배경은 다음과 같다. 초기 컴퓨터는 시스템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해 이진 또는 십진 주소 지정 방식을 사용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 이진 주소 지정 방식이 표준이 되면서, 메인 메모리 크기는 2의 거듭제곱으로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초기에는 메모리 크기를 정확한 숫자로 표기했지만, 컴퓨터 전문가들은 10의 거듭제곱으로 정의된 미터법 접두어 "킬로", "메가", "기가" 등을 2의 거듭제곱(210 = 1024, 220 = 10242, 230 = 10243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k"와 "K"는 때때로 같은 회사에서도 다른 의미(1024, 1000 또는 "약 1000")로 혼용되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비트, 바이트나 옥텟)에 SI 접두어를 오차를 무시하고 사용하는 관습이 생겼다. 그러나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결정된 SI 접두어는 엄밀하게 10의 정수 승을 나타내며,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었다.
기억 장치의 용량이 커지고, SI 접두어와의 오차가 커짐에 따라 혼란이 커졌다. 1998년,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는 SI 접두어와 구별되는 새로운 이진 접두어(키비, 메비, 기비 등)를 승인했지만[10]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1999년, JEDEC은 기억 장치의 용량을 나타내는 경우에 한해 SI 접두어와 같은 명칭을 2의 거듭제곱에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이름 | 기호 | 2진 접두어 승수 | SI 접두어 승수 |
---|---|---|---|
킬로 (kilo) | k/K | 210 = 1 024 | 103 = 1 000 |
메가 (mega) | M | 220 = 1 048 576 | 106 = 1 000 000 |
기가 (giga) | G | 230 = 1 073 741 824 | 109 = 1 000 000 000 |
테라 (tera) | T | 240 = 1 099 511 627 776 | 1012 = 1 000 000 000 000 |
페타 (peta) | P | 250 = 1 125 899 906 842 624 | 1015 = 1 000 000 000 000 000 |
엑사 (exa) | E | 260 = 1 152 921 504 606 846 976 | 1018 = 1 000 000 000 000 000 000 |
제타 (zetta) | Z | 270 = 1 180 591 620 717 411 303 424 | 1021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요타 (yotta) | Y | 280 = 1 208 925 819 614 629 174 706 176 | 1024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킬로의 기호는 SI 접두어의 k와 구별하기 위해 K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외의 기호는 SI 접두어와 같아 혼란이 있었다.[11]
현재는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에는 이진 접두어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플로피 디스크의 경우에는 혼용된 표기가 사용되기도 했다. 광 디스크의 경우 CD는 이진 접두어를, DVD, 블루레이 디스크 등은 SI 접두어를 사용한다. 통신 속도나 클럭 주파수에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3. 2. 1. 주기억장치
초창기 컴퓨터는 시스템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해 이진(2진법) 또는 십진(10진법)의 두 가지 주소 지정 방식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IBM 701(1952년)은 이진 방식을 사용하여 36비트의 2048워드를 주소 지정할 수 있었고, IBM 702(1953년)는 십진 시스템을 사용하여 7비트 워드 10,000개를 주소 지정할 수 있었다.1960년대 중반까지 이진 주소 지정 방식은 대부분의 컴퓨터 설계에서 표준 아키텍처가 되었고, 메인 메모리 크기는 일반적으로 2의 거듭제곱이 되었다. 초기 문서에서는 이러한 메모리 크기를 4096, 8192 또는 16384 단위(일반적으로 워드, 바이트 또는 비트)와 같은 정확한 숫자로 지정했지만, 컴퓨터 전문가는 10의 거듭제곱으로 정의된 오래된 미터법 접두어 "킬로", "메가", "기가" 등을 사용하여 대신 2의 가장 가까운 거듭제곱, 즉 210 = 1024, 220 = 10242, 230 = 10243 등을 의미하기 시작했다.
"k"와 "K"("1024", "1000" 또는 "약 1000")의 이러한 세 가지 가능한 의미는 거의 같은 시기에, 때로는 동일한 회사에서 헐겁게 사용되었다. HP 3000 비즈니스 컴퓨터(1973년)는 "64K", "96K" 또는 "128K" 바이트의 메모리를 가질 수 있었다.
3. 2. 2. 하드 디스크
디스크 드라이브 용량을 나타낼 때, 제조업체는 전통적으로 10의 거듭제곱을 의미하는 십진법 SI 접두어를 사용해 왔다. 최초의 상업용 디스크 드라이브인 IBM 350(1956년)은 총 5백만 문자로 표기되었다. 1974년에는 CDC가 디스크 용량에 십진법 메가바이트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IBM PC/XT에 설치된 Seagate ST-412는 10MB로 표기되었다. 이와 비슷하게 "300 GB" 하드 드라이브는 300,000,000,000 바이트보다 약간 더 많은 용량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첫 번째 테라바이트(SI 접두어, 1,000,000,000,000 바이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2007년에 출시되었다.Microsoft Windows와 같은 일부 운영 체제는 디스크 드라이브 용량 및 파일 크기를 표시할 때 "MB" 및 "GB"를 이진 접두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0 MB"(십진법 "M")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은 "9.56MB"로 보고될 수 있으며, "300 GB" 드라이브의 용량은 "279.4 GB"로 보고될 수 있다. Mac OS X[1], Ubuntu[2] 및 Debian[3]과 같은 일부 운영 체제는 디스크 드라이브 용량 및 파일 크기를 표시할 때 "MB" 및 "GB"를 십진법 접두어를 나타내는 데 사용하도록 업데이트되었다.
3. 2. 3. 플로피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는 다양한 포맷을 사용했으며, 용량은 일반적으로 십진법 또는 이진법 의미의 SI와 유사한 접두사 "K"와 "M"으로 지정되었다.[4][5]IBM PC AT와 함께 판매된 5.25인치 디스켓은 1,228,800바이트를 저장할 수 있었으며, "1200 KB"로 판매되어 "KB"의 이진법 의미를 따랐다.[6] 그러나 용량은 "1.2 MB"[7]로도 표기되었는데, 이는 "M"이 1000 × 1024를 의미하므로 십진법과 이진법 표기가 혼합된 것이었다.
5.25인치 애플 디스크 II는 섹터당 256바이트, 트랙당 13섹터, 한 면당 35트랙으로 총 116,480바이트의 용량을 가지고 있었다. 나중에 트랙당 16섹터로 업그레이드되어 총 143,360바이트가 되었으며, 이는 "K"의 이진법 의미를 사용하여 "140KB"로 설명되었다.
가장 최신 버전의 물리적 하드웨어인 "3.5인치 디스켓" 카트리지는 720개의 512바이트 블록(단면)을 가지고 있었다. 두 블록이 1024바이트를 구성하므로 용량은 "360 KB"로 표기되었으며, "K"의 이진법 의미를 따랐다. 반면에, 고밀도("HD") 버전의 "1.44 MB"로 표기된 용량은 다시 십진법과 이진법 표기가 혼합된 것으로, 1,440쌍의 512바이트 섹터, 즉 1,474,560바이트를 의미했다.
3. 2. 4. 광 디스크
CD의 용량을 나타낼 때, "메가바이트" 및 "MB"는 보통 10242 바이트를 뜻했다. 따라서 "700MB"(또는 "80분") CD는 대략 의 용량을 가지며, 이는 십진법으로 약 이다.반면, DVD, 블루레이 디스크, HD DVD 같은 다른 광 디스크 저장 매체의 용량은 보통 십진 기가바이트("GB")로 표시되었는데, 이는 10003 바이트를 의미한다. 특히, 일반적인 "" DVD는 약 4.7x109 바이트의 용량을 가지며, 이는 약 이다.
3. 2. 5. 테이프 드라이브 및 미디어
테이프 드라이브 및 미디어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최대 용량을 지정하기 위해 SI 십진 접두어를 사용해 왔지만, 실제 용량은 기록 시 사용된 블록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3. 2. 6. 데이터 및 클럭 속도
컴퓨터 클럭 신호 주파수는 항상 십진법의 SI 접두사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초기 IBM PC의 내부 클럭 주파수는 4.77MHz였으며, 이는 4770000Hz이다.마찬가지로, 디지털 정보 전송 속도는 십진법 접두사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병렬 ATA 디스크 인터페이스는 초당 를 전송할 수 있으며, 모뎀은 초당 비트를 전송한다. 음악 컴팩트 디스크의 표준 샘플링 속도는 44.1kHz로 표시되며, 이는 초당 샘플이다. 1G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초당 최대 109 비트 또는 각 패킷 내에서 초당 를 수신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56k" 모뎀은 초당 최대 비트를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할 수 있다.
십진법 SI 접두사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메모리 데이터 전송 속도에도 사용된다. 66MHz 클럭 및 64비트 너비의 PCI-X 버스는 초당 개의 64비트 워드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는 4224000000bit/s = 로 표시된다. 더블 데이터 속도 버스에서 클럭 속도가 200MHz이고 사이클당 8바이트를 전송하는 PC3200 메모리는 3200000000B/s의 대역폭을 가지며, 이는 3.2G로 표시된다.
3. 3. 모호한 표준
"킬로"(K 또는 k), "메가"(M), "기가"(G) 접두어가 1000의 거듭제곱 또는 1024의 거듭제곱을 의미하는 모호한 사용법은 대중적인 사전과 ANSI/IEEE 1084-1986, ANSI/IEEE 1212-1991,, IEEE 610.10-1994,, IEEE 100-2000과 같은 일부 구식 표준에서도 기록되었다. 이러한 표준 중 일부는 이진 의미를 "바이트"(B) 또는 "비트"(b)의 배수로 특별히 제한했다.2진법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2의 거듭제곱(2의 멱)이 자주 나타난다. 큰 양을 나타낼 때, SI 접두어 킬로(kilo)가 나타내는 1000에 가까운 1024 (210)나 SI 접두어 메가(mega)가 나타내는 1,000,000에 가까운 1,048,576 (220)에 대해 킬로, 메가와 같은 접두어를 사용하여 데이터 크기 단위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생겼다. 예를 들어 1킬로바이트나 1메가바이트는, 기호를 사용하여 1KB, 1MB 등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기가, 테라, 페타 등도 마찬가지로 사용하게 되었다.
기억 장치의 용량을 나타낼 때, 밑이 2인지 10인지 불명확하게 취급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을 나타낼 때 등에 현저하다. 승수가 증가할수록 SI 접두어가 나타내는 승수와의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기가, 테라 등의 이용이 진행될수록 불편이 증가했다. 아래 표와 같이, 킬로에서는 오차 2.4%로 유효 숫자 2자리의 범위에서 불편은 생기지 않지만, 테라에서는 오차가 약 10%가 되어 유효 숫자 2자리의 범위에서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이름 | 기호 | 승수 | SI 접두어 승수 |
---|---|---|---|
킬로 (kilo) | K | 210 = 1 024 | 103 = 1 000 |
메가 (mega) | M | 220 = 1 048 576 | 106 = 1 000 000 |
기가 (giga) | G | 230 = 1 073 741 824 | 109 = 1 000 000 000 |
테라 (tera) | T | 240 = 1 099 511 627 776 | 1012 = 1 000 000 000 000 |
페타 (peta) | P | 250 = 1 125 899 906 842 624 | 1015 = 1 000 000 000 000 000 |
엑사 (exa) | E | 260 = 1 152 921 504 606 846 976 | 1018 = 1 000 000 000 000 000 000 |
제타 (zetta) | Z | 270 = 1 180 591 620 717 411 303 424 | 1021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요타 (yotta) | Y | 280 = 1 208 925 819 614 629 174 706 176 | 1024 = 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
킬로의 기호는 SI 접두어의 k와 구별하기 위해 '''K'''가 사용된다. 그 외의 기호는 SI 접두어와 같아 구별할 수 없다.
2진 접두어와 SI 접두어의 사용법은 분야나 경우에 따라 모호하고 혼란스러워, 킬로가 SI 접두어의 1000인지 2진 접두어의 1024인지 그것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3. 4. 초기 이진 접두어 제안
1960년대 후반부터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 표준 이전에 고유한 이진 접두어에 대한 몇 가지 대안이 존재했다. 1968년 도널드 모리슨은 1024를 나타내기 위해 그리스 문자 카파(κ)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했다. 1969년 도널드 크누스는 1024의 거듭제곱을 "큰 킬로바이트"와 "큰 메가바이트"로 지정하고, 약어로 KKB와 MMB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3. 5. 소비자 혼란
"킬로", "메가", "기가" 등의 모호한 의미는 특히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심각한 소비자 혼란을 야기했다.[11] 흔한 혼란의 원인은 제조업체가 십진법적 의미로 해당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시한 하드 드라이브 용량과, 1984년 애플 매킨토시와 같이 운영 체제 및 기타 소프트웨어가 이진법적 의미로 보고하는 숫자 간의 불일치였다.[12] 예를 들어, "1TB"로 판매된 하드 드라이브는 "931GB"로 보고될 수 있었다. 램(RAM) 제조업체도 이진법적 의미를 사용했기 때문에 혼란은 더욱 심화되었다.3. 6. 법적 분쟁
디스크 크기 접두어에 대한 해석 차이는 디지털 저장 장치 제조업체를 상대로 한 집단 소송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소송에는 플래시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모두 관련되었다.3. 6. 1. 초기 사례
초창기 사례(2004–2007)는 제조업체가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제품의 저장 용량을 소비자 포장에 명확히 하기로 합의하면서 법원 판결 전에 해결되었다. 따라서 많은 플래시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 제조업체는 장치의 포맷된 용량을 명확히 하거나 MB를 로, GB를 로 정의하는 내용을 포장 및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3. 6. 2. ''Willem Vroegh v. Eastman Kodak Company''
2004년 2월 20일, Willem Vroegh는 렉사 미디어, 데인-일렉 메모리, 후지 사진 필름 USA, 이스만 코닥, 킹스턴 테크놀로지 컴퍼니, 멤렉스 프로덕츠, PNY 테크놀로지스, 샌디스크 코퍼레이션, 버바팀 코퍼레이션, 바이킹 인터웍스를 상대로 자사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용량 표기가 허위 및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다.Vroegh는 256MB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 접근 가능한 메모리가 244MB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고는 피고가 1메가바이트는 100만 바이트, 1기가바이트는 10억 바이트와 같다고 가정하여 자사 제품의 메모리 용량을 판매했다고 주장한다"며, 피고가 메가바이트에 10242, 기가바이트에 10243의 관례적인 값을 사용할 것을 원했다. 원고는 IEC 및 IEEE 표준에서 MB를 100만 바이트로 정의하고 있음을 인정했지만, 업계에서 IEC 표준을 대체로 무시해 왔다고 밝혔다.
당사자들은 제조업체가 정의를 포장과 웹 사이트에 추가하는 한 십진법 정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는 데 동의했다. 소비자는 "피고의 온라인 상점 플래시 메모리 장치에서 향후 온라인 구매 시 10% 할인을 받을 수 있었다".
3. 6. 3. ''Orin Safier v. Western Digital Corporation''
2005년 7월 7일, ''오린 사피어 대 웨스턴 디지털 주식회사 외'' 소송이 샌프란시스코 시 및 카운티 고등 법원에 제기되었다(사건 번호 CGC-05-442812). 이 사건은 이후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 법원, 사건 번호 05-03353 BZ로 이관되었다.웨스턴 디지털은 자사의 단위 사용이 "저장 용량을 측정하고 설명하는 데 있어서 논란의 여지없이 올바른 업계 표준"과 일치하며, "소프트웨어 산업을 개혁할 것으로 기대할 수는 없다"라고 주장했지만, 2006년 3월에 2006년 6월 14일을 최종 승인 심리일로 합의했다.
웨스턴 디지털은 고객에게 30USD 상당의 백업 및 복구 소프트웨어 무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기로 했다. 또한 소송을 제기한 샌프란시스코 변호사 아담 구트라이드와 세스 사피어에게 500000USD를 수수료와 비용으로 지급했다. 합의에 따라 웨스턴 디지털은 이후의 포장 및 광고에 면책 조항을 추가해야 했다.
웨스턴 디지털은 합의문에 다음과 같은 각주를 달았다. "원고는 일부 제빵사가 '12개'를 13개 품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12개의 달걀 한 판을 '한 다스'라고 표기한 것에 대해 사기 혐의로 달걀 회사를 고소할 수 있다고 믿는 것 같다."
3. 6. 4. ''Cho v. Seagate Technology (US) Holdings, Inc.''
조 대 시게이트 테크놀로지(미국) 홀딩스, Inc. 소송(Cho v. Seagate Technology (US) Holdings, Inc., 샌프란시스코 고등 법원, 사건 번호 CGC-06-453195)은 시게이트 테크놀로지를 상대로 제기된 소송이다. 원고는 2001년 3월 22일부터 2007년 9월 26일 사이에 판매된 하드 드라이브에서 시게이트가 사용 가능한 저장 공간의 양을 7% 과장했다고 주장했다. 이 사건은 시게이트가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해당 구매자들에게 무료 백업 소프트웨어나 드라이브 비용의 5% 환불을 제공하기로 합의하면서 해결되었다.3. 6. 5. ''Dinan et al. v. SanDisk LLC''
2020년 1월 22일, 캘리포니아 북부 지방 법원은 피고인 샌디스크(SanDisk)의 손을 들어주어 "GB"를 1000000000bytes로 사용하는 것을 유지했다.3. 7. IEC 1999 표준
1995년,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이진 곱수를 위해 "kibi", "mebi", "gibi", "tebi"라는 접두어를 제안했다. 1999년 1월, 국제 전기 기술 위원회(IEC)는 이 제안을 IEC 60027-2 개정 2판으로 출판했으며, "pebi"("Pi")와 "exbi"("Ei") 접두어를 추가했다. 2005년에는 "zebi"와 "yobi" 접두어가 추가되었다.이름 | 기호 | 승수 |
---|---|---|
키비 (kibi) | Ki | 210 = 1 024 |
메비 (mebi) | Mi | 220 = 1 048 576 |
기비 (gibi) | Gi | 230 = 1 073 741 824 |
테비 (tebi) | Ti | 240 = 1 099 511 627 776 |
페비 (pebi) | Pi | 250 = 1 125 899 906 842 624 |
엑스비 (exbi) | Ei | 260 = 1 152 921 504 606 846 976 |
제비 (zebi) | Zi | 270 = 1 180 591 620 717 411 303 424 |
요비 (yobi) | Yi | 280 = 1 208 925 819 614 629 174 706 176 |
이 표준은 국제 단위계(SI) 접두어가 항상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내야 한다는 국제 도량형국(BIPM)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IEC 60027-2 표준은 운영 체제 및 기타 소프트웨어가 이진 또는 십진 접두어를 일관되게 사용하도록 권장했지만, 이진 배수에 대한 SI 접두어의 잘못된 사용은 여전히 흔하다.
3. 7. 1. 기타 표준화 기구 및 조직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 표준 이진 접두어는 다른 표준화 기구 및 기술 단체에서도 지원한다.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는 ISO/IEC 표준을 지원하며, 사용법을 설명하고 정당화하는 웹 페이지를 가지고 있다. NIST는 국제 단위계(SI) 접두어는 "엄격하게 10의 거듭제곱을 나타낸다"고 밝혔으며, 이진 정의는 이에 대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JEDEC는 온라인 사전에서 IEC 접두어를 설명하지만, SI 접두어와 기호 "K", "M", "G"가 메모리 크기에 대해 이진 의미로 여전히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인정한다.
국제 도량형국(BIPM)은 국제 단위계(SI)를 관리하며, SI 접두어가 이진 배수를 나타내는 것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고, IEC 접두어를 대안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4. 십진법과의 차이
IEC 접두어 | 표현 | ||||
---|---|---|---|---|---|
이름 | 기호 | 밑 2 | 밑 1024 | 값 | 밑 10 |
키비 | Ki | 210 | 10241 | 1024 | 1.024 × 103 |
메비 | Mi | 220 | 10242 | 1048576 | ≈ 1.049 × 106 |
기비 | Gi | 230 | 10243 | 1073741824 | ≈ 1.074 × 109 |
테비 | Ti | 240 | 10244 | 1099511627776 | ≈ 1.100 × 1012 |
페비 | Pi | 250 | 10245 | 1125899906842624 | ≈ 1.126 × 1015 |
엑스비 | Ei | 260 | 10246 | 1152921504606846976 | ≈ 1.153 × 1018 |
제비 | Zi | 270 | 10247 | 1180591620717411303424 | ≈ 1.181 × 1021 |
요비 | Yi | 280 | 10248 | 1208925819614629174706176 | ≈ 1.209 × 1024 |
2022년에 국제도량형국(BIPM)은 10009에 대해 ''ronna''를, 100010에 대해 ''quetta''를 십진 접두어로 채택했다. 기존 이진 접두어와 유사하게, 국제도량형위원회의 단위 자문 위원회(CCU)의 자문 보고서는 이진 대응 접두어로 ''robi''()와 ''quebi''()를 제안했지만, 2022년 기준으로, 이에 해당하는 이진 접두어는 아직 채택되지 않았다.
SI 접두어를 기준으로 할 때, 이진 표기법과 십진 표기법의 값 간 상대적 차이는 킬로의 경우 2.4%에서 쿼타 접두어의 경우 거의 27%까지 증가한다. 론나와 쿼타 접두어는 정의되었지만, 2022년 기준으로 해당 이진 접두어에 공식적으로 지정된 이름은 없다.
접두어 | 이진 ÷ 십진 | 십진 ÷ 이진 | |||
---|---|---|---|---|---|
킬로 | 키비 | 1.024 (+2.4%) | 0.9766 (−2.3%) | ||
메가 | 메비 | 1.049 (+4.9%) | 0.9537 (−4.6%) | ||
기가 | 기비 | 1.074 (+7.4%) | 0.9313 (−6.9%) | ||
테라 | 테비 | 1.100 (+10.0%) | 0.9095 (−9.1%) | ||
페타 | 페비 | 1.126 (+12.6%) | 0.8882 (−11.2%) | ||
엑사 | 엑스비 | 1.153 (+15.3%) | 0.8674 (−13.3%) | ||
제타 | 제비 | 1.181 (+18.1%) | 0.8470 (−15.3%) | ||
요타 | 요비 | 1.209 (+20.9%) | 0.8272 (−17.3%) | ||
론나 | — | 1.238 (+23.8%) | 0.8078 (−19.2%) | ||
쿼타 | — | 1.268 (+26.8%) | 0.7889 (−21.1%) |
컴퓨터가 다루는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비트, 바이트나 옥텟)에 붙는 접두사 등으로 사용된다.
2진 접두어 명칭에, SI 접두어에서 유래한 킬로, 메가, 기가 등을 오차를 무시하고 유용하는 관습이 있지만, 이는 속습이다. 국제도량형총회(CGPM)에서 결정된 SI 접두어는 엄밀하게 10의 정수 승을 나타내며, SI 접두어가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내는 일은 결코 없다.
2진법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그 수량에 대해 2의 거듭제곱(2의 멱)이 자주 나타난다. 그래서 큰 양을 나타낼 때, SI 접두어 킬로가 나타내는 승수 1000에 가까운 1024 (210)나 SI 접두어 메가가 나타내는 승수 1,000,000에 가까운 1,048,576 (220)에 대해, 킬로나 메가를 접두사로 주로 바이트나 비트와 같은 데이터 크기 단위와 조합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1킬로바이트나 1메가바이트는, 기호를 사용하여 1KB, 1MB로 쓰고, 또한 대화에서 당사자끼리 단위에 대해 암묵적 또는 명시적인 합의가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 단위를 생략하여 1킬로, 1메가와 같은 표현을 관용적으로 사용해왔다. 그 후, 데이터 규모의 확대에 따라, 더 큰 승수를 나타내는 기가, 테라, 페타 등도 마찬가지로 사용하게 되었다.
기억 장치의 관련 등에서, 밑이 2인지 10인지 불명확하게 취급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하드 디스크 제조사가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나타낼 때 등에 현저하다. 더 나아가 승수가 증가할수록 유용원의 SI 접두어가 나타내는 승수와의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기가, 테라 등의 이용이 진행될수록 불편이 증가했다. 아래 표와 같이, 킬로에서는 오차 2.4%로 유효 숫자 2자리의 범위에서 불편은 생기지 않지만, 테라에서는 오차가 약 10%가 되어 유효 숫자 2자리의 범위에서도 무시할 수 없게 된다.
1998년, IEC(국제 전기 표준 회의)는 SI 접두어와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2진 접두어를 승인했다. 210, 220, 230 등의 승수를 나타내는 접두사는 IEC 60027-2에서는 각각 키비, 메비, 기비 등이 되며, 1024바이트는 1키비바이트, 1,048,576바이트는 1메비바이트가 된다. 비슷한 규격이 IEEE에서도 IEEE 1541-2002로 성립되어 있다. IEC 60027의 2진 접두어 규정은 IEC 80000-13:2008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보급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혼란의 해소에는 이르지 못했다. 정보 기술계 기업조차, 이용도는 높지 않다.
이에 대해 1999년, JEDEC은 JESD100-B를 정하고, 기억 장치의 용량을 나타내는 경우에 한해 SI 접두어와 같은 명칭을 2의 거듭제곱에 사용하는 것으로 정의했다[10]。 즉, 이 규격에서 1024바이트를 1킬로바이트, 1,048,576바이트를 1메가바이트 등으로 부르는 것은 적절하다.
이름 | 기호 | 승수 | SI 접두어 승수 |
---|---|---|---|
킬로 (kilo) | K | 210 = 1024 | 103 = 1000 |
메가 (mega) | M | 220 = 1048576 | 106 = 1000000 |
기가 (giga) | G | 230 = 1073741824 | 109 = 1000000000 |
테라 (tera) | T | 240 = 1099511627776 | 1012 = 1000000000000 |
페타 (peta) | P | 250 = 1125899906842624 | 1015 = 1000000000000000 |
엑사 (exa) | E | 260 = 1152921504606846976 | 1018 = 1000000000000000000 |
제타 (zetta) | Z | 270 = 1180591620717411303424 | 1021 = 1000000000000000000000 |
요타 (yotta) | Y | 280 = 1208925819614629174706176 | 1024 = 1000000000000000000000000 |
킬로의 기호는 SI 접두어의 k와 구별하기 위해 '''K'''가 사용된다. 그 외의 기호는 SI 접두어와 같아 구별할 수 없다.
2진 접두어와 SI 접두어의 사용법은 분야나 경우에 따라 모호하고 혼란스러워, IEC 규격이 아닌 기존의 2진 접두어와 SI 접두어의 구분이 불분명한 경우가 있다[11], 킬로가 SI 접두어의 1000인지 2진 접두어의 1024인지 그것만으로는 알 수 없는 경우도 있다. 킬로에서는 양쪽의 차이가 약 2%이지만, 메가에서 약 5%, 기가에서 약 7%, 테라에서 약 10%로 곱수가 커질수록 그 차이도 커진다. 속칭, 1024에는 k 대신 K를 사용하고 "케이"라고 칭하는 유행도 있다[12]。
IEC 60027-2:2005에 의해 SI 접두어와는 다른 명칭과 기호를 가진 2진 접두어가 도입된 것을 계기로, 2006년에 발행된 국제 단위계 국제 문서 제8판에서는 SI 접두어는 10의 정수승을 나타내는 것을 다시 강조한 후, SI 접두어를 2의 거듭제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IEC 60027-2:2005의 2진 접두어는 SI에 속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의 구조에 기인하는 데이터 크기의 단위에서는 2진 접두어가 사용되고, 그 외에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그러나 메모리 관련이라도 경우에 따라 십진법에 기초한 SI 접두어가 양의 비교나 계산을 하기 쉬운 편리성이 있기 때문에, 양자의 사용법을 구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2진 접두어는 IEC 규격에서 명확한 표시가 필요하게 된다.
RAM이나 ROM, SSD, USB 메모리 등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에는 2진 접두어가 사용된다. 1 킬로바이트 = 1024 바이트, 1 메가바이트 = 1024 킬로바이트이다.
CPU 등의 클럭 주파수나 샘플링 주파수 등 주파수에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2.4기가헤르츠는 2,400,000,000헤르츠이다. 주파수의 단위는 계량 단위이므로 각국의 계량 법규의 규제를 받는다. 일본에서는 계량법 등에 의해 국제 단위계를 사용하므로 주파수의 단위에서 2진 접두어는 사용할 수 없다.
통신 속도, 그리고 음성이나 영상의 압축 및 스트리밍에서의 비트 전송률에서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1메가비트/초는 1,000,000비트/초이다.
플로피 디스크의 용량에서는 2진 접두어와 SI 접두어가 혼합된 단위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2HD 플로피 디스크의 (512바이트/섹터) × (18섹터/트랙) × (80트랙/면) × (2면) 포맷의 용량은 종종 "1.44메가바이트"라고 하지만, 정확히는 1.44 × 1000 × 1024바이트 (1440 키비바이트)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메가"는 1000 × 1024이며, SI 접두어도 2진 접두어도 아니다.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면 1.47메가바이트 또는 1.41메비바이트가 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에서는 SI 접두어가 사용된다. 이는 같은 하드 디스크라도 SI 접두어로 표시한 쪽이 겉으로 보이는 숫자가 더 커 보인다는 마케팅상의 이유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예를 들어 100기가바이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대략 100 × 1000 × 1000 × 1000바이트(100 × 109바이트)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OS 등의 표시는 2진 접두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100기가바이트 하드 디스크가 OS상에서 93기가바이트 전후로 표시되는 등,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용량 표시와 OS에서의 용량 표시는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SI 접두어로 표시된 제품의 상자(케이스)나 설명서 등에 작게 "OS의 표시로 인해 용량이 작게 표시될 수 있습니다." 등이라고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파일이나 전자 도큐먼트의 크기는 전통적으로 2진 접두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Windows의 기본 설정이 그렇게 되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5. 현재 상황
일부 컴퓨터 산업 참여자, 예를 들어 HP 및 IBM(IBM)은 일반적인 문서화 정책의 일부로 IEC 이진 접두사를 채택하거나 권장했다.
2023년 기준으로, 컴퓨터의 주 기억 장치, RAM(RAM), 롬(ROM), EPROM, 및 EEPROM 반도체 칩 및 메모리 모듈, 그리고 컴퓨터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용량을 지정하는 데 SI 접두사를 이진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512메가바이트" 또는 "512 MB" 메모리 모듈은 512 MiB, 즉 512 × 220 바이트(536,870,912 바이트)를 저장하며, 512 × 106 바이트(512,000,000 바이트)가 아니다.
JEDEC는 문서 "용어, 정의 및 문자 기호"에 "킬로", "메가" 및 "기가"의 관습적인 이진 정의를 계속 포함하고 있으며, JEDEC 메모리 표준에서 해당 정의를 계속 사용했다.
반면에, 10의 거듭제곱 의미를 가진 SI 접두어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및 USB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의 용량에 사용된다. EEPROM으로 사용하기 위한 일부 플래시 메모리 칩은 예외이다. 그러나 일부 디스크 제조업체는 혼동을 피하기 위해 IEC 접두사를 사용했다. SI 접두어의 십진법적 의미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 및 클럭 속도 측정에도 사용된다.
일부 운영 체제 및 기타 소프트웨어는 IEC 이진 승수 기호("Ki", "Mi" 등) 또는 SI 승수 기호("k", "M", "G" 등)를 십진법적 의미로 사용한다. Linux/GNU ls 명령과 같은 일부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이진 승수 또는 십진 승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부는 디스크 또는 파일 크기를 보고할 때도 SI 기호를 이진 의미로 계속 사용한다. 일부 프로그램은 "k" 대신 "K"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두 의미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9]
6. 기타 용도
이진 접두어는 거의 항상 정보 단위인 비트와 바이트와 함께 사용되지만, 편의상 다른 모든 측정 단위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에서는 주파수 단위인 헤르츠(Hz)의 이진 배수가 필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24 Hz와 같은 키비헤르츠(KiHz)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ow iOS and macOS report storage capacity
https://support.appl[...]
2018-02-27
[2]
웹사이트
UnitsPolicy
https://wiki.ubuntu.[...]
Ubuntu
2022-01-09
[3]
웹사이트
ConsistentUnitPrefixes
https://wiki.debian.[...]
2022-01-09
[4]
웹사이트
IBM100 – The Floppy Disk
https://web.archive.[...]
2012-03-07
[5]
간행물
Disc Storage
1972-05
[6]
웹사이트
Working with Disks: An intro to floppy disks and floppy drives
https://web.archive.[...]
2001-07-08
[7]
웹사이트
Floppy disk storage {{!}} IBM
https://www.ibm.com/[...]
2024-12-14
[8]
논문
An Open Source Environment for Cell Broadband Engine System Software
http://www.research.[...]
IEEE Computer Society
2007-06
[9]
웹사이트
Ls(1) – Linux manual page
https://man7.org/lin[...]
[10]
서적
Terms, Definitions, and Letter Symbols for Microcomputers, Microprocessors, and Memory Integrated Circuits
https://www.jedec.or[...]
JEDEC Solid State Technology Association
2021-06-09
[11]
웹사이트
【気になるトレンド用語】今更聞けない!ハードディスクの単位
https://news.livedoo[...]
2022-06-27
[12]
웹사이트
キロバイトとは (kilobyte, KB): - IT用語辞典バイナリ
https://www.sophia-i[...]
202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